MBTI 테스트, 믿어도 될까? 과학이 말하는 오해와 진실

리뷰정보

MBTI Test, Can I Believe It? Misunderstanding and Truth About Science

혈액형으로 성격을 판단하는 거, 다들 한 번쯤 들어보셨죠? 1971년 일본 작가 노오미 마사히코의 《혈액형 인간학》에서 시작된 이 이론. 인간을 단 4가지 유형으로?

물론 과학적 근거는 전혀 없었습니다. 그럼 요즘 핫한 MBTI는 어떨까요?

캐서린 쿡 브릭스와 딸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스가 만든 이 검사. 제2차 세계대전 당시, 부족한 노동력때문에 빠르게 적합한 직무를 찾도록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알려져 있죠.

MBTI Test, Can I Believe It? Misunderstanding and Truth About Science
MBTI Test, Can I Believe It? Misunderstanding and Truth About Science

하지만 실제로는 홈스쿨링으로 사회 경험이 부족했던 딸을 위해 시작됐습니다. 쉽게 말해 세상에는 이런 사람들이 있으니 참고하라는 의미였습니다.

또한 이 검사를 만들었을 당시 전문 심리학 교육을 받은 적이 전혀 없었어요.

이런 이유를 제외하고도 실제로 MBTI는 교육 및 심리학계에서 인정을 받고 있지 않습니다.

MBTI 테스트 문제점

첫째, 검사 신뢰도가 낮습니다. 같은 사람이 다른 시기에 검사하면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많아요. 성격 검사의 표준인 BIG 5 이론과 비교하면 신뢰도가 훨씬 떨어집니다.

둘째, 과학적 타당성 부족. 16가지 유형으로 이분법적으로 나누는 건 인간 성격의 복잡성을 지나치게 단순화했고, 명확한 과학적 증거가 없습니다.

셋째, 성격의 변화를 무시합니다. MBTI는 성격을 고정된 것으로 보지만, 실제로 성격은 경험과 환경에 따라 계속 변합니다.

MBTI, 재밌게 즐기는 건 좋지만 과학적 근거가 있다고 착각하면 안 됩니다. 혈액형 성격론처럼, MBTI도 유과학에 가깝다는 것. 이제 아시겠죠?

그럼에도 우리는 왜 이런 분류에 끌릴까요? 복잡한 나와 타인을 간단히 설명하고 싶은 욕구, 그리고 어딘가에 소속되고 싶은 인간의 본능 때문일지도 모릅니다. 정말 중요한 건 16개 유형이 아니라, 눈앞의 ‘이 사람’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는 노력 아닐까요?

Leave a Comment